티스토리 뷰
목차
청년도약계좌가 24년 하반기부터 정부기여금이 최대 198만원까지 확대되면서 만기시 기존 청년도약계좌보다 최대 60만원이 증가해 연 9.54%의 일반적금상품에 가입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금융기관 어플을 통해 간단하게 비대면으로 신청가능하니 자세한 방법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.
1.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의 어플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 신청 후 약 2주정도의 심사 후 통과하면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
현재 청년도약계좌는 국민,신한,기업,우리 등 11개 은행에서 취급하고 있습니다. 은행별로 기본금리에 차이가 있고 우대금리에 따라 금리가 6.0%까지 적용되니 아래를 통해 은행별로 우대금리 조건에 충족하는지 확인하시고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리
👆️이번 하반기부터 청년도약계좌가 확대 시행됩니다. 이전에는 월 70만원을 납입해도 40만원까지만 기여금이 지급되어 월 24,000원만 받을 수 있었습니다.
하지만 하반기 확대시행으로 매칭한도구간이 확대되어 월 40~70만원에대 기여금이 지급되어 기존에 24,000원에서 9,000원이 증가한 월 33,000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글로만 설명하니 이해하기 어려우시죠? 제가 아래 그림과 함께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예를 들어, 총 급여가 2,400만원 이하일 경우 매달 70만원을 납입하고 이자 5%를 적용했을 때
70만원씩 60개월을 납입하면 원금 4,200만원에 이자는 533만원이 됩니다.
여기서 정부기여금이 33,000원씩 60개월 계산하면 198만원으로
총 4,200만원(원금) +533만원(이자) + 198만원 = 4,931만원이 되는 것 입니다.
이런 식으로 총 급여액에 따라 계산하시면 됩니다.